우한 폐렴 1번 확진자 치료 과정 공개! 코로나 바이러스 걸어다니는 바이러스 좀비?
서울대병원 오명돈 교수에 따르면
폐렴인데 가벼운 독감 유사 증상뿐이라
코로나 바이러스는 전파 위험이 크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에이즈 바이러스 억제 약물로
소기의 치료 성과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코로나 바이러스 확진자와
접촉한 무증상자를
적극적으로 찾아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국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인
우한 폐렴 환자의 증상과 치료 경과 등을
분석한 논문이 처음으로 나왔습니다.
현재까지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확진자와 관련 논문은
중국과 미국, 유럽 등지에서 발표된 게 전부였기 때문에
국내 발표가 정말 반가운 소식인데요.
2월 4일 대한의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에 따르면
서울대병원 감염내과 오명돈 교수팀은
국내 첫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인
우한폐렴 확진자 1호였던
35세 중국 국적 여성의 증상과
현재까지의 치료 경과 등을 담은
논문을 공개 했습니다.
이 환자는 중국의 대명절인 설을 맞아
한국과 일본을 여행하기 위해
19일 인천으로 입국한 후
검역과정에서 발열 등 증상으로
조사대상 유증상자로 분류돼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인
인천의료원으로 이송되었는데요.
이후 방역당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우한 폐렴 검사에서 해당 여성을
확진자로 판정했습니다.
주목되는 건 이 환자가 열, 오한, 근육통 등의
증상이 처음 발생한 1월 18일 이후
3일만인 21일에 시행한
흉부 방사선 검사에서는
폐에 침윤이 관찰되지 않았다가
(폐 침윤의 뜻
결핵균에 의한 폐의 병소로부터
염증이 주위의 조직에 퍼져가는 상태.
엑스선 사진에 경계가 명확하지 않은
음영을 볼 수 있음.)
25일 촬영에서 폐 침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점입니다.
이 환자는 당시 호흡곤란을 호소하지는 않았지만
산소 포화도가 떨어져
21일부터 콧줄을 이용해
산소를 보충받는 상황이었다고 합니다.
의료진은 이에 대해
경미한 증상이 나타난 후
3일 만에 폐렴에 걸렸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신종코로나 증상만으로 격리 입원된 이후
폐렴을 암시하는 가래, 흉막염, 객혈 등
임상적인 특징이 없었는데도
영상 촬영 검사에서 폐렴이 나왔다는 것이다.
만약 증상과 상관없이
컴퓨터 단층 촬영(CT)으로
추가 검사를 하지 않았다면
이 환자에 대해 폐렴 진단을 내리지
못했을 수도 있다고 의료진은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폐렴 발병에도 불구하고
가벼운 독감 유사 증상만 나타난 건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당시의
'워킹 폐렴'(walking pneumonia)과 닮았다고 비유했습니다.
워킹 폐렴은 폐렴에 걸린 줄 모른 채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면서
다른 사람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어요.
의료진은 논문에서 이 환자에게
HIV(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치료 성분
두 개를 섞어 투약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두 성분은 태국 보건부가 밝힌
HIV 치료제와 같은 약물입니다.
환자는 증상 발현 후 7일 째에
열이 최고 38.9도까지 오른 뒤
10일간 고열을 유지하다가 11일째(1월 28일)에
정상 수준으로 떨어졌다고 합니다.
14일째(1월 31일)에는 호흡곤란도 개선되고
또 흉부 방사선 검사에서는
폐 병변도 줄어든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의료진은 이번 환자의 사례로 볼 때
상부 호흡기 감염에서 폐렴으로
진행할지 여부를 예측할 수 없는 만큼
역학적인 연관성이 있으면서
관련 증상이 있는 모든 사람에 대해
선별검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합니다.
연구책임자인 오명돈 교수는
국내 첫 환자의 경우 증상이 미약했는데도
폐렴은 잘 호전되지 않았다면서
무증상 감염자의 추가 입국을 막고
환자와 접촉한 국내 무증상자를
더 적극적으로 찾아내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만 한다고 권고했습니다.
제가 며칠 전에 업로드 한
우한 폐렴이 진짜 무서운 이유에
이미 언급했듯이
우한 폐렴은 치명적인 휴유증
폐 섬유화를 진행시킬 수 있다고 했습니다.
1번 확진자를 치료하시는 담당의께서도
폐 섬유화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으셨지만
CT 검사를 하기 전까지는
폐렴의 정도를 파악할 수 없고
무증상인 상태에서도
바이러스를 퍼뜨릴 수 있고
그 동안에 폐를 손상시킬 수 있기에
확진자들과 접촉한
무증상 사람들을 모두
능동 감시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위와 같은 발표 때문에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오늘
부랴부랴 군산 8번째 확진자가 다녀간
사우나에서 접촉한 사람들을
샅샅히 수색하기 시작한 걸까요?
실제로 어떻게 돌아가는지는
알 수 없지만
뉴스 기사에서 발표한 내용들로만
추측해야만 하는 게 아쉽습니다.